신청 기간과 소득 요건, 자동신청 제도까지 모두 정리했습니다
2024년도 귀속 근로·자녀장려금 신청이 5월 1일부터 시작되어 6월 2일까지 진행됩니다.
올해는 맞벌이 가구의 소득 요건이 완화되면서 신청 대상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동신청 제도 역시 전면 확대돼 더욱 편리하게 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습니다.
근로·자녀장려금이란 무엇인가요?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은 저소득 가구의 근로 유인을 높이고 실질 소득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근로·사업·종교인 소득이 있는 가구가 대상이며, 매년 정해진 기간에 신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올해 신청 대상은 총 340만 가구로, 가구당 평균 110만 원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맞벌이 가구 소득 기준 완화…누가 더 받을 수 있을까?
2025년부터 맞벌이 가구의 소득 기준이 기존 3800만 원에서 4400만 원으로 상향됐습니다.
이에 따라 맞벌이 가구 중 장려금 신청이 가능한 인원이 지난해보다 6만 가구 늘어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단독 가구 | 2200만 원 미만 | 동일 |
홑벌이 가구 | 3200만 원 미만 | 동일 |
맞벌이 가구 | 3800만 원 미만 | 4400만 원 미만 |
핵심: 맞벌이 가구의 경우 부부 합산 총소득이 4400만 원 미만이면 신청 가능합니다.
자녀장려금은 소득 7000만원 미만까지
자녀장려금은 홑벌이·맞벌이 구분 없이 소득 7000만 원 미만이면 신청 가능합니다.
단, 자녀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연령과 부양 여부 등이 기준에 포함됩니다.
재산 요건도 확인하세요
근로·자녀장려금 모두 가구원 전체 재산 합계가 2억4000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부채는 제외되므로 실제 자산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자동신청 대상 확대…편리함 증가
작년까지는 만 60세 이상만 자동 신청 대상이었지만,
올해부터는 연령에 상관없이 자동신청 동의가 가능해졌습니다.
한 번 동의하면 향후 2년간 조건을 충족할 경우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처리됩니다.
60세 이상 | 자동신청 대상 | 우편 안내 또는 국민비서 |
60세 미만 | 동의 시 가능 | 국민비서 등 온라인 안내 |
핵심: 자동신청을 동의하면 매년 신청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신청 안내문, 어떻게 받나요?
- 만 60세 미만: 국민비서 알림 서비스 통해 안내문 수신
- 만 60세 이상: 우편으로 안내문 발송
안내문을 받은 후 홈택스 또는 손택스에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정기 신청 못해도 12월 1일까지 추가 가능
정기신청 기간(5월 1일~6월 2일)을 놓쳤더라도 12월 1일까지 추가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이 경우 지급 금액이 5% 감액되므로 되도록 정기신청 기간에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반기 신청 가구는 별도 신청 필요 없습니다
이미 2023년 9월 또는 2024년 3월에 반기 신청한 가구는 이번 정기 신청을 따로 하지 않아도 됩니다.
6월 말 정산을 통해 추가 지급되거나 환수됩니다.
요약 정리: 2024 귀속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포인트
신청 기간 | 2024년 5월 1일 ~ 6월 2일 |
소득 기준 | 단독 2200만, 홑벌이 3200만, 맞벌이 4400만 |
자녀장려금 | 소득 7000만 원 미만 |
재산 기준 | 총 재산 2억4000만 원 미만 |
자동 신청제도 | 연령 무관, 2년간 자동 신청 가능 |
추가 신청 | 12월 1일까지, 5% 감액 적용 |
올해는 맞벌이 가구와 청년층, 자동신청 동의자에게 특히 유리한 조건이 마련된 만큼
신청 대상자라면 정기 신청 기간을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고양 국제 꽃 박람회 일정·운영시간·입장료 총정리 (2) | 2025.05.06 |
---|---|
2025 셀프케어 트렌드 총정리! 당신이 놓친 핵심 키워드 (2) | 2025.05.04 |
서울 어린이대공원 주변, 아이들이 반할 맛집 추천 리스트 (6) | 2025.05.02 |
서울 어린이대공원 나들이, 아이들과 함께한 즐거운 하루 (1) | 2025.05.02 |
서울 근교에서 즐기는 동물원 나들이 추천 BEST 5 (1)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