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aist #전기차배터리 #고속충전 #전해질 #아이소부티로니트릴 #리튬이온전지 #최남순 #홍승범 #음극계면층 #에너지저장시스템 #드론 #우주항공1 KAIST 연구진, 15분 만에 충전 가능한 전기차 배터리 전해질 개발 최남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홍승범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협력하여 개발한 새로운 전해질 용매 '아이소부티로니트릴(isoBN)'은 전기차 배터리 기술의 혁신을 가져올 획기적인 성과입니다. 이 연구는 기존 리튬이온전지 전해질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기차 배터리 충전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전기차 대중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존 리튬이온전지 전해질의 한계:현재 리튬이온전지에 널리 사용되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전해액은 높은 점성과 강한 용매화 특성으로 인해 리튬 이온의 이동을 방해합니다. 특히, 고속 충전 시에는 리튬 이온이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음극 표면에 금속 리튬이 전착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리튬 전착은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키고 화재 위험을 높이는.. 2025. 3.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