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 전라도 친구와 경상도 친구의 뇌과학 공부법 썰전 🗣️

by silvertener 2025. 8. 19.
반응형


1. 👨‍🏫 "공부 스케줄, 미리 정하면 뇌가 알아서 준비한당께!"

"오빠야, 우리 뇌가 공부 시간 정해놓으면 진짜로 집중력을 준비하는 기가? 쫌 신기한데? 😮"

 

"하모! 이게 다 이유가 있당께. 뇌에는 아데노신이라는 물질이 있는데,

이게 집중력을 빵빵하게 채워주는 연료라고 생각하면 쉬워.

우리가 공부 시간을 딱 정해놓으면, 뇌가 그 시간을 위해 아데노신을 차곡차곡 쌓아놓는 거지.

그래서 정해진 시간에는 잡생각이 잘 안 들어오는 것이여. 🧠"

 

"아, 그라믄 오빠는 언제 공부했는데? 쫌 알려도!"

 

"나가 아침에 1~2시간, 저녁에 1~2시간 이렇게 두 번으로 나누는 게 제일 좋더랑께. 🌞

🌙 우리 뇌는 짧고 굵게 집중하는 걸 더 좋아하거든.

그 시간에는 핸드폰은 아예 전원을 꺼놓고, 와이파이도 꺼버려야 해. 알았제?"


2. 🗣️ "배운 거 가르치다 보면 네 실력도 모르게 는당께!"

"아까 '가르치기'가 최고라캤잖아. 그게 왜 그리 좋노?

그냥 내 머릿속으로 정리하는 거랑 뭐가 다른데?"

 

"그게 아주 중요한 질문이여! 👏

남한테 뭘 가르치려면 내가 모르는 부분을 그냥 넘어갈 수가 없어.

'아, 이 부분은 내가 확실히 이해 못 했네?' 하고 바로 알 수 있단 말이제.

🤷‍♂️ 이걸 메타인지라고 하는데, 스스로의 생각 과정을 돌아보는 능력이여.

가르치는 과정이 바로 이 메타인지를 키워주는 거여.

게다가, 다른 사람한테 설명해주려고 머릿속에 있는 지식을 꺼내다 보면,

정보가 더 체계적으로 정리되고 단단하게 굳어진당께. 👌"

 

"오~ 가르쳐주는 것도 내 공부가 된다는 말이네. 나도 내일 친구 불러가 한번 설명해봐야겠다!"


3. 📝 "셀프 테스트는 무조건 정답만 찾아 푸는 기 아니다!"

 "근데 셀프 테스트는 그냥 문제집 푸는 거랑 똑같은 거 아이가? 🧐"

 

 "아니여! 절대 똑같지 않당께. 셀프 테스트의 진짜 핵심은 정답을 맞히는 게 아니여! 🙅‍♂️

문제를 풀고 답을 확인하는 '과정'이 중요하당께.

이 과정에서 뇌의 해마가 활성화되면서

새로운 정보가 장기 기억으로 넘어가는 통로가 생긴당께.

특히 단순한 객관식보다는 빈칸을 채우거나, 배운 내용을 내 말로 다시 풀어 써보는 게 진짜 효과적이지. 📖"

 

"오호! 그럼 공부 끝나고 바로 테스트 하는 기가?"

 

"응, 맞아! 🤓 공부 직후에 한 번, 그리고 최종 시험 직전에 한 번,

이렇게 딱 두 번 셀프 테스트를 하면 1년이 지나도 기억에 남아있을 확률이 확 올라간대.

또 한 가지 팁은, 공부 마치고 바로 핸드폰 보지 말고,

최소 5~10초 정도는 눈 감고 오늘 배운 걸 머릿속으로 한번 되새겨봐!

뇌가 정보를 저장할 시간을 주는 거지."


4. 🌟 "목표는 야무지게! 크게 잡아야 힘든 것도 이겨낸다!"

"그래도 공부하다 보면 너무 재미없고 하기 싫을 때가 있잖아. 그럴 땐 답이 없더라..."

 

"그럴 때야말로 큰 목표가 필요하당께. 🎯

앤드류 후버만 박사가 연구한 의대생들은

'나중에 아픈 사람들을 돕겠다'는 확실한 목표가 있었대.

이런 큰 목표가 있으면, 지루하고 힘든 공부도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한 한 걸음'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거지. 🏃‍♂️"

 

"하모! 맞다 아이가. 목표를 향해 가는 과정이라 생각하믄 힘들어도 계속 할 수 있는 기네.

내도 이번 기회에 야무진 목표 하나 세아봐야겠다! 🔥"


 

반응형